에세이라 쓰고 자서전이라 읽어야 할까

  현실 정치에 별로 관심이 없던 사람이거나 특히, 정치 관련 기본적인 지식을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는 ‘에세이’ 치고 읽기 쉽지 않은 책이다. 1부는 추상적인 느낌이 강하다. 왜냐하면 ‘행복’, ‘자유’, ‘권리’, ‘당위’ 등 보통 때에는 깊게 생각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헌법의 본질과 연결하는 것에 이어, 2부에서 작가는 ‘국회의원’이었던 본인의 이야기를 적나라하게 풀어놓는다. 1부보다는 현실과 좀 더 밀접한 관계가 있고 “정치인을 수입하자!”는 독특한 견해 등도 소개하고 있어 2부에는 흥미로운 부분이 많았다.

  “독재정권 시기가 있었던 것처럼 우리나라는 아직 민주공화국으로 ‘향하는 중’이며, 여전히 쟁취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 있다.”라는 책의 요지는 이해하겠으나, 글에 작가 본인 관점이 깊이 관여되어 있어 논설문 같기도 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관습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자기 방어 기제와 합리화의 분위기는 독자에게 부담을 주는 듯하다.

  인터넷 국어사전에 따르면 에세이는 “개인의 상념을 자유롭게 표현하거나 한두 가지 주제를 공식적 혹은 비공식적으로 논하는 비허구적 산문양식”이라고 한다. <후불제 민주주의>는 문체에 담긴 주관적이고 감정적인 면을 보아 ‘비공식적’ 에세이에 속하는 것 같다. 이를 염두하고 책에 미리부터 반감을 갖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